
패스트캠퍼스 강의를 오래전부터 들어왔었고 도움을 많이 받아서 수강후기를 작성하려 했는데 이번에 수강후기 이벤트를 진행해서 미루다가 이제야 수강후기를 작성하게 되었다!
내가 패스트캠퍼스 강의를 접하게 된건 편입해서 학교를 들어가서 졸업작품을 준비하게 됐을 때였다.
그리고 여러 강의를 결제 했는데 그중 주로 듣던 건




이렇게 네가지를 주로 들었다.
이 중에서 앱 개발 관련 패키지를 처음 결제하게 되었는데 강의나 내용들이 마음에 들어서 백엔드 관련 강의도 수강하게 되었다.
강의 선택 이유
내가 앱 개발로 강의를 결제하게 된 건 유튜브에서 여러 무료 강의들을 찾는 것보다 제대로 공부할 거면 커리큘럼이 짜인 강의를 아얘 듣는 게 낫다고 생각했다. 인프런도 생각해 봤지만 인프런 유로 강의들이랑 가격 차이가 많이 나지 않았고 가격 차이가 나도 양 면에서 패스트 캠퍼스 강의가 더 많았기 때문에 패스트 캠퍼스 강의를 결제해서 듣게 되었다.
앱 개발 강의를 듣게 된건 내가 팀 프로젝트를 할 때 제대로 맡아서 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앱 개발이라도
제대로 잘 해보자 생각해서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고 졸업작품에서 앱 개발을 담당하면서 나름 열심히 들었다.
공책에 열심히 필기하면서 들었는데 1 2 년이 넘다 보니 공책이 어디 갔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요즘에는 코딩테스트 레포지터리에 낙서장 란을 만들어서 거기다 작성하면서 듣고 있는 편이다
나름 공부 낙서장으로 깃허브 잔디도 심기 편하구 공부한 기록을 나름 남기고 있다고 생각해서 잘 작성하고 있는 편이다

수강 / 완강 후 달라진 점
강의를 들으며 여러 앱 개발프로젝트를 학교에서 진행했고 프로젝트에 관련해서 설명하자면
1. 모바일 사원증 (2021.9 ~ 2022.11)
- 이 프로젝트에서는 블루투스 기반의 모바일 사원증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습니다.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코틀린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으며, Firebase와 인텔리제이를 이용하여 서버 구축 및 관리를 진행하였습니다.
- 앱의 디자인, 구현 등 앱의 전반적인 모든 기능을 담당했습니다
- 모바일 사원증인 만큼 앱을 구현하는데 가장 많은 부분을 할애했어야 됐고 할당량도 많았으나 코틀린과 자바를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방학 때도 쉬지 않고 공부하면서 구현을 진행했고 36팀 중 5등을 하며 우수상을 탔습니다.
- https://github.com/Mobile-Employee-ID
Mobile-Employee-ID
Mobile-Employee-ID has 4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2. dialog flow를 이용한 챗봇 앱 (2022.6~ 2022.12)
- 이 프로젝트에서는 Dialogflow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챗봇을 구현하였습니다.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Firebase를 사용하여 챗봇 앱을 개발하였고, Dialogflow를 이용하여 챗봇의 대화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 앱 제작을 담당했고 가장 연장자로서 졸업작품을 진행하는 만큼 그 경험을 살려 부분적으로 어떤 파트를 맡아야 될지 각 팀원에게 알려줬고 파트를 진행하면서 어려운 점은 없는지 어떤 걸 공부해야 되는지 알려주면서 챗봇 앱을 완성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 이 프로젝트를 통해 AI 챗봇 개발에 대한 경험을 얻고, API를 활용하여 앱을 만드는 경험을 쌓았습니다
- https://github.com/myoungsuk/Chungbot-master
GitHub - myoungsuk/Chungbot-master: dialogflow를 이용한 충북대 챗봇
dialogflow를 이용한 충북대 챗봇. Contribute to myoungsuk/Chungbot-mast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3. Google Cloud Vision을 이용한 학생증 명함 앱(2023.3 ~ 2023.6)
- 이 프로젝트에서는 Google Cloud Vision API를 활용하여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명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습니다.
- Firebase를 이용하여 앱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였으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이용하여 앱의 전체적인 구조와 디자인을 담당하였습니다
- 이 프로젝트에서는 이미지 처리, 텍스트 인식, 데이터 관리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였습니다.
- 앱제작의 전체 부분을 구현하고 다듬는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이 앱을 개발하면서 데이터를 GET 하는 방식과 POST를 하는 방식에 대해서 좀 더 배울 수 있었고 Google Cloud Vision API를 사용하여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성공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 https://github.com/OpensSourcePro/-BusinessCardApp
GitHub - OpensSourcePro/-BusinessCardApp: GCP를 이용한 학생증 간편 공유 명함 앱
GCP를 이용한 학생증 간편 공유 명함 앱. Contribute to OpensSourcePro/-BusinessCardApp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이렇게 여러 프로젝트에서 앱 개발을 담당해서 앱 개발에 대해서는 나름 역할을 잘 수행했다고 생각했다. 패스트 캠퍼스 강의가 아니었다면
아마도 좀 더 어렵게 학습했을 것 같고 프로젝트에 대해서 아니면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문외한이라면 이런 강의를 하나 결제해서 들어보면서 시작해 봐도 좋을 것 같다 생각한다. (왜냐하면 내가 프로젝트를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하나도 모를 때 많은 도움을 받았다)
앞으로의 목표
요즘에는 백엔드 개발에 관심이 많이 생겼고 백엔드 개발 강의를 중점적으로 듣고 있다. 지금은 백엔드 프로젝트를 클론 코딩하며
배우고 있지만
프로젝트를 잘 만들어서 백앤드 개발자로 취업하는 게 목표이다.
백앤드 부트캠프를 진행하고 있는데 별도로 패스트 캠퍼스 강의도 수강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이 백엔드 프로젝트에 익숙해진다면 다음에는 AWS와 클라우드 관련해서 공부를 진행해 볼 생각이다!


패스트캠퍼스 강의를 오래전부터 들어왔었고 도움을 많이 받아서 수강후기를 작성하려 했는데 이번에 수강후기 이벤트를 진행해서 미루다가 이제야 수강후기를 작성하게 되었다!
내가 패스트캠퍼스 강의를 접하게 된건 편입해서 학교를 들어가서 졸업작품을 준비하게 됐을 때였다.
그리고 여러 강의를 결제 했는데 그중 주로 듣던 건




이렇게 네가지를 주로 들었다.
이 중에서 앱 개발 관련 패키지를 처음 결제하게 되었는데 강의나 내용들이 마음에 들어서 백엔드 관련 강의도 수강하게 되었다.
강의 선택 이유
내가 앱 개발로 강의를 결제하게 된 건 유튜브에서 여러 무료 강의들을 찾는 것보다 제대로 공부할 거면 커리큘럼이 짜인 강의를 아얘 듣는 게 낫다고 생각했다. 인프런도 생각해 봤지만 인프런 유로 강의들이랑 가격 차이가 많이 나지 않았고 가격 차이가 나도 양 면에서 패스트 캠퍼스 강의가 더 많았기 때문에 패스트 캠퍼스 강의를 결제해서 듣게 되었다.
앱 개발 강의를 듣게 된건 내가 팀 프로젝트를 할 때 제대로 맡아서 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앱 개발이라도
제대로 잘 해보자 생각해서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고 졸업작품에서 앱 개발을 담당하면서 나름 열심히 들었다.
공책에 열심히 필기하면서 들었는데 1 2 년이 넘다 보니 공책이 어디 갔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요즘에는 코딩테스트 레포지터리에 낙서장 란을 만들어서 거기다 작성하면서 듣고 있는 편이다
나름 공부 낙서장으로 깃허브 잔디도 심기 편하구 공부한 기록을 나름 남기고 있다고 생각해서 잘 작성하고 있는 편이다

수강 / 완강 후 달라진 점
강의를 들으며 여러 앱 개발프로젝트를 학교에서 진행했고 프로젝트에 관련해서 설명하자면
1. 모바일 사원증 (2021.9 ~ 2022.11)
- 이 프로젝트에서는 블루투스 기반의 모바일 사원증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습니다.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코틀린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으며, Firebase와 인텔리제이를 이용하여 서버 구축 및 관리를 진행하였습니다.
- 앱의 디자인, 구현 등 앱의 전반적인 모든 기능을 담당했습니다
- 모바일 사원증인 만큼 앱을 구현하는데 가장 많은 부분을 할애했어야 됐고 할당량도 많았으나 코틀린과 자바를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방학 때도 쉬지 않고 공부하면서 구현을 진행했고 36팀 중 5등을 하며 우수상을 탔습니다.
- https://github.com/Mobile-Employee-ID
Mobile-Employee-ID
Mobile-Employee-ID has 4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2. dialog flow를 이용한 챗봇 앱 (2022.6~ 2022.12)
- 이 프로젝트에서는 Dialogflow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챗봇을 구현하였습니다.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Firebase를 사용하여 챗봇 앱을 개발하였고, Dialogflow를 이용하여 챗봇의 대화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 앱 제작을 담당했고 가장 연장자로서 졸업작품을 진행하는 만큼 그 경험을 살려 부분적으로 어떤 파트를 맡아야 될지 각 팀원에게 알려줬고 파트를 진행하면서 어려운 점은 없는지 어떤 걸 공부해야 되는지 알려주면서 챗봇 앱을 완성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 이 프로젝트를 통해 AI 챗봇 개발에 대한 경험을 얻고, API를 활용하여 앱을 만드는 경험을 쌓았습니다
- https://github.com/myoungsuk/Chungbot-master
GitHub - myoungsuk/Chungbot-master: dialogflow를 이용한 충북대 챗봇
dialogflow를 이용한 충북대 챗봇. Contribute to myoungsuk/Chungbot-mast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3. Google Cloud Vision을 이용한 학생증 명함 앱(2023.3 ~ 2023.6)
- 이 프로젝트에서는 Google Cloud Vision API를 활용하여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명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습니다.
- Firebase를 이용하여 앱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였으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이용하여 앱의 전체적인 구조와 디자인을 담당하였습니다
- 이 프로젝트에서는 이미지 처리, 텍스트 인식, 데이터 관리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였습니다.
- 앱제작의 전체 부분을 구현하고 다듬는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이 앱을 개발하면서 데이터를 GET 하는 방식과 POST를 하는 방식에 대해서 좀 더 배울 수 있었고 Google Cloud Vision API를 사용하여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성공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 https://github.com/OpensSourcePro/-BusinessCardApp
GitHub - OpensSourcePro/-BusinessCardApp: GCP를 이용한 학생증 간편 공유 명함 앱
GCP를 이용한 학생증 간편 공유 명함 앱. Contribute to OpensSourcePro/-BusinessCardApp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이렇게 여러 프로젝트에서 앱 개발을 담당해서 앱 개발에 대해서는 나름 역할을 잘 수행했다고 생각했다. 패스트 캠퍼스 강의가 아니었다면
아마도 좀 더 어렵게 학습했을 것 같고 프로젝트에 대해서 아니면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문외한이라면 이런 강의를 하나 결제해서 들어보면서 시작해 봐도 좋을 것 같다 생각한다. (왜냐하면 내가 프로젝트를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하나도 모를 때 많은 도움을 받았다)
앞으로의 목표
요즘에는 백엔드 개발에 관심이 많이 생겼고 백엔드 개발 강의를 중점적으로 듣고 있다. 지금은 백엔드 프로젝트를 클론 코딩하며
배우고 있지만
프로젝트를 잘 만들어서 백앤드 개발자로 취업하는 게 목표이다.
백앤드 부트캠프를 진행하고 있는데 별도로 패스트 캠퍼스 강의도 수강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이 백엔드 프로젝트에 익숙해진다면 다음에는 AWS와 클라우드 관련해서 공부를 진행해 볼 생각이다!
